본문 바로가기

육아,교육2

아이들의 진정한 모습을 이해하고 지지하는 방법 아이를 키우는 부모라면 아이의 성장과 행복을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그러나 가끔은 아이의 진정한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고, 오히려 아이를 더 힘들게 만들기도 합니다. 특히 내성적이거나 낯가림이 심한 아이들은 더욱 그렇습니다. 아이들이 진정한 자신을 잃지 않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할까요?               아이들의 내면을 이해하고 지지하는 부모의 역할부모는 아이의 첫 번째 친구이자 가장 큰 지지자입니다. 그러나 내성적인 아이를 둔 부모는 종종 아이가 친구를 사귀기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며 안타까워합니다. 한 초등학생이 처음 친구들에게 다가갈 때 느끼는 불안감과 어색함은 많은 내성적인 아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경험입니다. 이런 아이들은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더 적극적으로 친.. 2024. 6. 14.
사교육 없이 과학고 보낸 엄마가 아이에게 강조했던 것은? '내 아이를 위한 사교육은 없다'의 저자 김현주 작가의 교육 철학 다들 아이들 사교육, 어떻게 시키시나요? 교육은 정말 어려운 것 같아요. 다른 아이들이 학원에 가니 안 보내면 우리 아이만 뒤처지는 것 같아서 보내야 할 것 같고 고민이 많은데요. 아이는 다 성향이 다른데 똑같이 교육을 시키는 것이 맞을까? 앞으로의 시대는 우리와는 다른데 공부가 답일까? 너무 생각이 많은 요즘입니다. 저는 작년 여름방학까지 영어학원을 보내다가 너무 긴 시간 영어교육을 하니 재미보다는 지쳐하고, 나름 보냈지만 열심히 안 해서 아이도 힘들고, 저도 숙제 봐주느라 가기 싫다고 떼 부리는 아이 달래느라 너무 지치더라고요. 이게 맞나 싶고. 이렇게 한들 시간 낭비인 게 아닐까? 엄마와의 사이도 안 좋아지는 것 같고요. 그래서 과감하게 끊었습니다. 집에서 공부 습관을 들이는 게 먼저이지 않을까 싶.. 2024. 3.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