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도서/자기계발5

[책리뷰] 일놀놀일 - 김규림, 이승희 ✓ 멘토와 꼰대 사이 '단언하지 말라' 어설픈 말로 가르치려는 대신 그저 내 삶을 살아가는 방식으로 보여주는 것, 그것이 내가 살아가고 싶은 방향이자 꼰대가 되지 않는 방법. ✓ "무의미하게 지나갈 수 있는 일상의 감각들을 압축해서 기록해놓으면 훗날 소설을 쓸 때 큰 도움이 됩니다." ✓ 오래 일했다고 많이 성장하는 것도 아니고, 큰 성공을 거둔다고 많이 성장하는 것도 아니다. 내가 생각하는 성장은 어떤 경험을 했는지, 그 경험 속에서 무엇을 생각했는지, 또 다른 발판으로 나아갈 무언가를 얻었는지에 달려 있다. 그래서 부지런히 다니고 만나고 듣고, 또 해보고 기록한다. ✓ 시간은 '어쨌든' 흐른다. 내가 뭔가를 하든, 하지 않든. 내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시작이라는 씨앗을 부지런히 뿌리는 것 아닐까?.. 2024. 12. 12.
[책리뷰] 파서블 - 김익한 ✓ 생각과 실행이 빠진 기록은 낙서에 불과하다. ✓ 어디든 앉으면 다이어리를 펴라. ✓ 나는 '방법 집착형 기록'자가 아닐까? ✓ '생각', '자기화', '기록' ==> '실행'    파서블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shopping.naver.com              ✓ 하루하루의 차이를 느껴가며 일상의 기록을 반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 상상이 행위와 상호작용하면서 현재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 이 책을 읽다 보니, 자신의 꿈을 구체화해서 계획해야 한다고 한다. 나의 꿈을 먼저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나의 꿈은 무엇인가? ✓ 좋은 습관을 잘 들여서 그것이 내 몸에 붙으면 그 행동은 인식조차 되지 않는 나의 라이프스타일이 된다. 좋은 습관을 들이기가.. 2024. 11. 5.
[책 리뷰] 1천 권 독서법 - 전안나 독서기록      에서의 추천리스트 중 하나의 책. 책을 오랫동안 지치지 않고 즐겁게 읽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책 적용점한 달에 한 권, 가족들 다같이 책 사는 날을 정해보기아이가 문제를 풀 때, 이해하기 어려워 하면, 소리내어 읽어보라고 해보기아이들과 하루 20분 이상 같이 책 읽기!아이들과 카페(또는 만화카페) 가서 맛있는 것 먹으면서 독서하기도서관 가서 책 읽기역사에 관한 책 읽기한 달에 한 권, 자기계발서 읽기             독서를 하면서 달라진 건 바로 ‘나’이다. 우주를 바꾸기보다 ‘나’를 바꾸기가 어렵다는데 바로 그걸 내가 해냈다. 책을 읽으면서 스스로를 돌아보고, 반성하고, 마음이 평안해지고, 성숙해지는 나를 느꼈다. 이런 변화는 무엇보다도 관계를 통해 드러났다. 아이들, 남편, .. 2024. 5. 14.
[책리뷰] 독서의 기록 - 안예진 책 프롤로그를 읽자 마자 ‘아! 이 책이다. 이 책은 나의 궁금증을 해결해 주겠지’라는 느낌이 딱 왔다. ‘하루 2시간, 변화하기 위해 나에게 투자해야 하는 시간’ - 47p   책은 읽어도 왜 변화하지 않는지 궁금해했던 의문이 한번에 뚫렸다. 기록하는 독서, 실천하는 독서를 생각하자 독서하는 시간이 즐거워졌고, 독서를 위한 하루 2시간이 생겼다. - 48p   독서하고 나를 변화시킬 시간이 없다는 것은 핑계였다. 목표를 세우니 시간은 만들어졌다. - 50p   무엇을 하든 가장 기본은 ‘나를 아는 것’이다. (…) ‘나의 정체성’을 알고 시작하면 여정과 목표가 명확해진다. - 74p   읽은 책을 데이터로 저장하는 일은 읽은 책을 기록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여태까지 내가 어떤 책을 읽어왔는지 쭉 살펴볼.. 2024. 5. 3.
[책리뷰] 유대인 대화법 - 김옥림 ✔유대인의 뛰어난 경쟁력과 저력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1. 유대인의 독특한 신앙심에 있다. (유대교) 2. 유대인의 교육법에 있다. (하브루타) 3. 그 어떤 고난과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강인함에 있다. 4. 유대인의 지혜서인 에 있다.    만나는 사람 모두에게서 무언가를 배울 수 있는 사람이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다. 모르는 것을 묻지 않는 것은 쓸데없는 오만일 뿐 그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 배움은 유대인에게 매우 소중한 삶의 가치이자 목적.  간결하게 말하는 것, 핵심을 짚어 말하는 것이 상대방에 대한 존중이자 정중한 예의다. 요즘 핵심을 짚을 줄 아는 능력이 강점이 되는 추세이나 이 능력은 흔치 않은 능력이다. 그래서 오늘날 적시에 핵심을 짚어 말할 줄 아는 사람들이 확연히 두드러.. 2024. 4. 26.